코스피, 4,000도 가능할까? 증권가 기대감 속 신중론도 공존
코스피, 4,000도 가능할까? 증권가 기대감 속 신중론도 공존 국내 증시의 빠른 회복과 낙관론의 확산 2025년 상반기, 코스피지수가 무려 3년 6개월 만에 3,000선을 돌파하며 국내 증시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에 발맞춰 주요 증권사들이 코스피 연내 상단 전망치를 일제히 상향 조정하고 있다. 특히 하나증권은 4,000포인트까지도 가능하다는 파격적인 전망을 내놓아 주목받고 있다. 과거 ‘코스피 3,000’조차 꿈같던 시절을 고려하면, 시장의 정서가 얼마나 변화했는지를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다. 낙관론의 근거: 정책 변화와 글로벌 환경 개선 증권사들이 이처럼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는 데에는 몇 가지 배경이 있다. 첫째, 정부의 주주환원 정책 강화 기대감이다. 기업들이 이익을 주주에게 환원하는 기조가 강화되면, 기업가치가 재평가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둘째, 최근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와 원화 강세 등의 거시경제 요인이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셋째, 글로벌 경제의 방향성 변화다. 미국의 경기 둔화와 이에 따른 달러 약세, 주요국의 재정 확대 및 통화 완화 정책이 국내 증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대신증권은 코스피의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이 10배를 넘어서며 밸류에이션 확장 국면에 진입했다고 진단했고, 현대차증권은 9월 이후 정부의 자본시장 활성화 정책이 구체화되면서 증시 재평가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신중론: 급등 이후 숨고르기와 외부 변수 하지만 이와 같은 장밋빛 전망에만 기대기에는 아직 갈 길이 멀다. 급등한 주가를 둘러싼 부담감, 정책수혜 테마주의 차익실현 매물,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 그리고 FOMC 회의 등 여러 외부 변수들이 남아 있다. 아이엠증권은 코스피의 연내 상단을 3,100포인트로 상향 조정했지만, 동시에 “7월은 가격 부담과 매크로 이벤트가 겹치는 시기”라며 주의가 필요하다고 경고했다. 특히 2분기 실적 시즌을 지나면서 레거시 D램 가격 상승 효과가 실제 기업 실적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